본문 바로가기
영화/국내

[국내영화] 안시성(THE GREAT BATTLE , 2017)

728x90

 


* 주관적인 리뷰라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 사진출처 : 네이버영화 *


 

요약 줄거리


수염난 조인성 분이 참 멋있는 K-신파가 버무려진 어디서 많이 본 듯 한 공성영화


 

음??? :: 아마겟돈, 300, 킹덤 오브 헤븐 그리고 신파


영화 [안시성]을 볼 이유는 다양했다. 
우선 조인성 분의 팬이기도 했고, 액션이 멋있다는 입소문에 팔랑거렸다. 그래서 개봉당시 영화관에서 보게 되었을 때, 매우 놀랐다. 수염 난 조인성 분이 걸어나오고, 어디서 본 클리셰와 장면들이 나오더니 이세민이 안시성으로 처들어오는 장면에서는 어디서 많이 보던  영화들이 오버랩되어서 많이 놀랐다. 


영화 [안시성]은 역사적으로 당 태종이 고구려 안시성을 침공하던 안시성 전투를 그렸는데, 그 전투를 벌이기까지 여러 인간들의 사정과 드라마를 시작한다. 그렇게 사망클리셰가 쌓여가는데...

양만춘 장군의 여동생은 부관과 연애를 하고 있지만 오빠인 양만춘 장군은 시국이 시국인지라 좀 안정되었을 때 하면 싶은 마음에 둘 사이가 영 탐탁지 않고, 또다른 부관들은 열심히 투닥거리고있으며, 고구려 중앙정부에서는 당나라 군대가 코앞까지 오고있는데 양만춘을 암살하려고하는데다 양만춘의 전여친이자 무녀는 안그래도 힘든 상황 가운데 갑분 뒷통수를 때린다. 

 



군사력으로 큰 차이가 나는 열세의 상황 속에서 승리를 거둔, 역사적 사실을 각색한 영화이기에 영화 [안시성]은 재미없을 수가 없는 영화였다. 근데, 나에게 있어 영화 [안시성]은 오오! 재밌었어, 라고 자연스레 입밖으로 내기에는 참 묘한 영화가 되어버렸다. 

영화 초반부터 양만춘을 암살하라는 장면에서는 아직 당나라가 도착을 안했나, 싶었지만 전란의 상황인 것을 모두가 다 알고 있었고, 이를 기점으로 영화를 보는 내내 동공지진 대환장 파티가 열리게 된다.

양만춘의 동생이 부관과 비밀 연애가 들킬 때, 양만춘이 화살을 들고 열심히 쏘아대는 장면에서는 영화 [아마겟돈]에서 브루스 윌리스가 좋은 대화를 하기 위해 샷건을 쏘아대던 장면이 오버랩되고, 안시성 전투가 한창일 때 슬로우를 걸며 전투를 하는 장면에서는 자연스레 영화 [300]의 중반부분이 오버랩된다. 그리고 성앞의 공성무기가 도미노 마냥 쓰러지는 장면에서는 영화 [킹덤 오브 헤븐]이 떠오른다. 

 

 


이게 지금 표절일까, 오마주일까.
대표적인 오마주 작품으로는 영화 [킬 빌]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우마 서먼 분이 입은 노란색 트레이닝복이 영화 [사망유희]을 오마주했다는 것은 이미 유명하다. 오마주라는 어원자체가 프랑스어로 '존경'이나 '감사'를 의미하는 단어이기에 그 뜻처럼 감독이 존경을 담아 유명한 장면을 차용하고 부각시켜 존경의 표현하는 것이다. 

그런데 영화 [안시성]의 몇몇 장면들은 존경이라기보다는, 또 이걸 표절이라하기에는 한국 액션 영화상 이런 액션 처음봤지? 하는 느낌적인 느낌이라 보는 내내 어어어? 보다는 음??? 하는 느낌이 좀 더 강했다. 그렇다해서 찝찝함을 놓기는 어려웠지만 말이다. 영화 [아마겟돈]이나 [300]의 장면들까지는 그래, 비슷하네, 힘줬네 싶다가도 공성무기 장면에서는 [킹덤 오브 헤븐] 복붙 생각이 절로 날 정도로.

 


 

좋다, 유명한 영화들의 액션 장면들의 구도를 절로 떠오르게할만큼 힘줘서 영화를 찍었다고하고, 영화 전체적으로 보자면 어떨까.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총체적 난국이었다.

앞서 말한대로, 분명 기저는 사극 영화인데 수염난 조인성 분이 걸어나온다. 거기다 사극톤 쓰는 분들이 주조연급보다는 단역분들이 더 많이 쓰시는 느낌적인 느낌도 든다. 

그래,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한 판타지 사극이라고 감안하고 영화를 관람하면 어떨까. 그 뒤, 양만춘 동생의 연인이 죽고 눈이 돌아가 혈혈단신으로 당나라군에게 처들어가는 장면에서는 이건 너무 지나치게 판타지 아니냐는 소리가 또 절로 나온다. 

 

 


거기다 양만춘의 전여친인 무녀가 우린 망했다며 갑분 배신을 때리는 장면에서는 이 영화는 도대체 어디까지 가려고 하는 것일까, 위기상황을 만들려고하는 것이라면 차라리 당나라를 이용해 위험상황을 만들어내지 이 미친 개연성은 무엇일까. 또, 고구려 중앙정부에서 보낸 암살첩자 사물이 양만춘의 인간미에 감화하여 연개소문에게 읍소하고, 이에 연개소문이 그의 말을 듣고서 군사를 내어주는데 이쯤되면 극 중 연개소문이 쉬운 남자였던 것일까, 아니면 사물이 마성의 남자였던 것일까 하는 의구심도 든다.  

그렇게 우여곡절 끝에 간 영화의 마지막, 당나라는 토산을 쌓았지만 안시성 사람들의 희생으로 토산을 무너트리고 양만춘이 화살로 이세민의 눈을 쏘며 전쟁은 그렇게 끝이 난다. 여기에 K-신파는 역시 빠질 수 없는 조미료다.

영화 [안시성] 액션이 멋있다는 것만큼 딱히 이견이 없다. 멋있다고 생각한 어느 영화 속 장면들이 절로 연상되게하는데 어떻게 멋이 없을 수 있을까. 다만, 사극영화임에도 의상이나 배경이 아니었다면 현대물이라 생각했을 정도로 사극스럽지 않은 연기와 갑자기 분위기 무엇하게하는 이상한 개연성이 보는 내내내 당혹스럽게 하는 영화이기도했다. 

 


 

한줄평 : God is nothing but everything
평점 :: 4/10
재관람여부 :: 추석특선영화로 볼 의향 있음

728x90